김대중컨벤션센터

Kimdaejung Convention Center

Special Information
  • Client 광주광역시 + 김대중컨벤션센터건립공사
  • Award 2005 광주 건축상_은상
  • Gross Area (㎡) 38,430.00

광주에 들어서면서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광주를 품에 안고 있는 무등산이다. 무등산은 광주에 상징적인 의미와 시민의 마음속 깊은 고향으로 느끼는 존재이다. 그래서 무등산이 하나의 관광명소라기 보다는 광주에 Symbol 이자 중요한 Factor이다. 이렇게 폭넓게 인식되고 있는 무등산은‘등이 없는 산’이란 뜻으로 산 자체가 구릉처럼 흘러흘러 퍼져있는 형상을 하고 있어서 우뚝 솟아있는 다른 산들과는 대조를 이루고 있다. 규모면에서 중소시설로 계획됨에 있어 중점을 둔 것은 얼마나 작은 공간이 효율적으로 여러 기능들을 융통성 있게 만드는 것이었다. 다양한 기능을 수용함에 있어서 때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화되고 움직일 수 있도록 Compact 하지만 유기적으로 대응 가능한 형태를 만들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각각의 기능들과 공간을 전체적으로 아우르는 그 무언가가 필요했다. 건물에 상징적 의미 또한 중요한 과제였다. 각 지방자치마다 컨벤션센터가 생겨나고 있는 현실에서 지역적특색을 잘 나타내고 광주만의 심볼이 필요했다. 유기적이고 융통성 있는 공간과 각 기능을 긴밀하게 묶을 수 있도록 능선을 타고 넘어가는 무등산의 의미를 건물에 도입했다. 무등산 품에 광주 도심이 하나로 감싸 듯이 Torsion Shell은 각각의 기능을 아우르면서 전체적인 건물에 형태를 구축해 나간다. 더 나아가 능선과 능선이 중첩되어서 전체적인 산맥을 형성 하듯이 여러 개의 레이어들이 건물을 한 겹씩 드리워 지면서 공간과 기능을 덧붙여 나간다. 이렇게 모여진 레이어들은 전체적인 건물에 파사드를 형성하여 전시컨벤션센터로 완성된다.

Project Information
  • 위치 광주광역시 서구
  • 용도 Culture/Exhibition
  • 대지면적 53,301.90㎡
  • 건축면적 23,867.30㎡
  • 연면적 38,430.00㎡
  • 규모
    지하/지상
    지하 1층 , 지상 3층
  • 설계연도 2002년
  • 준공연도 2005년
김대중컨벤션센터
김대중컨벤션센터
김대중컨벤션센터
김대중컨벤션센터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