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1967 - 1977
크게 보다- 1967.06정림건축연구소 설립
1967.06
정림건축연구소 설립
김정철, 김정식 두 명예회장에 의해 공동 창립된 정림건축은 1967년 ‘정림건축연구소’라는 이름으로 출발하였다. 정림건축의 창업은 을지로 ‘적산가옥’의 허름한 단층 건물의 열악한 환경에서 이뤄졌지만, 서울여대 강당과 학장 공관, 대광고교 강당과 과학관, 한양화학 사택과 공장을 잇달아 수주하면서 설계 조직이 30여 명까지 늘어날 정도로 젊은 건축가들의 꿈과 열정은 누구보다 컸다.
정도와 성실을 바탕으로 한 정림건축연구소의 창립 이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는 현대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면서 미래지향적인 창작활동을 통해 국가발전과 환경개선에 공헌함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우리는 조직적으로 종합적인 창작활동을 통해 기술혁신과 완벽한 토털 디자인(Total Design)을 수행한다. 셋째, 우리는 부단한 기술개발과 축적 도모로 기술수준을 국제화하고 나아가 국위선양, 외화 절약 및 획득을 목적으로 한다.” - 1970.02중구 북창동 삼옥빌딩으로 이전
1970.02
중구 북창동 삼옥빌딩으로 이전
북창동 삼옥빌딩으로 이전하여 서울대 관악캠퍼스 본관(1973), 외환은행 본점현상설계 당선(1973), 삼양사 본사(1974) 등 굵직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외환은행 본점 현상설계 당선을 계기로 조직 설계의 필요성을 절감한 정림건축은 해외 건축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력을 한 단계 높이는 단초를 마련했다.
- 1971.02정림건축으로 개칭
- 1973외환은행 본점 현상설계 당선
1973
외환은행 본점 현상설계 당선
초고층 시대의 서막을 알리는 상징적인 건물로서 처음으로 타워부와 포디엄을 분할해 설계했다. 또한 외부공간은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설계하여 기업의 가치와 도시환경의 반영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효율적으로 풀어내었다. 외환은행 본점 현상설계 당선을 계기로 당시 한국 건축계에서 입지를 다지게 되었다.
- 1973.10㈜정림건축으로 법인 등록
1973.10
㈜정림건축으로 법인 등록
‘정림건축연구소’에서 (주)정림건축 법인으로 등록하면서 건축 전 분야의 전문가들을 아우를 수 있도록 조직을 재정비했다. 디자인은 물론 건축, 구조, 기계, 전기, 방제, 조경, 환경에 이르기까지 ‘토털 디자인’의 인프라를 갖추게 되었다.
- 1975.12종로구 연건동 구사옥 신축 이전
1975.12
종로구 연건동 구사옥 신축 이전
정림건축은 창립 8년 만에 연건동(현 사옥부지)에 본사 건물을 신축하여 이전, 정림건축 연건동 시대를 열었다. 6개부(계획부, 설계부, 설비부, 특별사업부, 감리부, 총무부), 107명의 구성원으로 조직설계의 기본 틀을 완성하였다.
1978 - 1988
혁신과 믿음으로 노력하다- 1980.02사우디아라비아 지사 설립
1980.02
사우디아라비아 지사 설립
사우디 아라비아 아구아 살라다(Agua Salada) 주택단지, 브라이다 하우징(Braida Housing), 상 하우징(SANG Housing), 사우디 스틸 파이프(Saudi Steel Pipe) 주택단지 및 공장 설계에 참여하게 되면서 리야드에 지사를 설립하고 10년 이상 현지 설계사무소를 운영하였다.
- 1981이화여자대학교 프로젝트
1981
이화여자대학교 프로젝트
정림건축은 1980년 이화여대 종합과학관 작업을 계기로 중앙도서관, 법정대학관과 2005년 공학관까지 이화여대에만 22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조직, 탁월한 작업 수행능력은 이화여대와 30년 이상 파트너십을 유지할 수 있는 근간이 되었다.
- 1982.12한국해외기술개발공사(KCI) 가입
- 1984국내 최초 CAD 시스템 도입
1984
국내 최초 CAD 시스템 도입
1년 수주액이 10억여 원에 불과한 1984년, 2억 원이라는 거금을 투자하여 설계 사무실 최초로 CAD 시스템을 도입했다. 동일한 패턴을 반복해 그리는 것과 같은 단순 반복 작업에서부터 섬세하고 세련된 표현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디자인의 질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 1985한국종합무역센터 준공
1985
한국종합무역센터 준공
서울 강남 중심에 자리한 무역센터는 1980년대 당시 한국의 세계화를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대표적인 랜드마크로 1988년 서울올림픽과 연계되는 행사들을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정림건축과 일본 니켄 세케이(Nikken Sekkei)의 합작으로 설계된 무역센터는 사회경제적 변화가 고려된 공간이며, 이는 지금도 여전히 유효하다.
- 1987국내 최초 표준 디테일 ‘건축상세’ 발간
1987
국내 최초 표준 디테일 ‘건축상세’ 발간
설계본부에서 사용하는 표준 상세도를 업계 최초로 《건축상세》라는 제목의 책으로 출간해 시중에 유통, 우리나라 설계의 질 향상에 기여했다는 찬사를 받았다.
- 1987정림건축 작품집 ‘정림건축 1967-1987’ 발간
1987
정림건축 작품집 ‘정림건축 1967-1987’ 발간
지난 20년 정림건축의 모든 작업을 담은 《정림건축 1967-1987》을 발간하는 한편, 끊임없는 신뢰와 애정을 보내준 고객들과 함께 전시회와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새로운 20년을 향한 성장과 발전 의지를 다졌다.
- 1987.03전문기술용역업 (건축기계설비, 건축전기설비) 등록
1989 - 1999
세계로 향하다- 1989청와대 본관 및 춘추관 설계자로 초청
1989
청와대 본관 및 춘추관 설계자로 초청
정림건축이 쌓은 신뢰와 작업 역량은 국가의 주요 상징 프로젝트 작업으로 이어졌다. 대표적으로 청와대 본관과 춘추관을 들 수 있다. 자연과 건축물의 관계, 한국 고유의 멋과 아름다움의 건축적 재해석, 시대적 상황 반영 등을 디자인에 접목하여 일시적으로 눈길을 끌려고 하기 보다는 주변과 동화되는 깊이 있는 공간을 창출했다.
- 1989.10건축시공감리전문회사 등록
- 1990.08해외건설업 등록
- 1991.05INTERIOR (의장업) 등록
- 1992.11인천공항 국제현상 프로젝트 당선
1992.11
인천공항 국제현상 프로젝트 당선
세계 유명 건축가들이 참여한 인천공항 국제현상 프로젝트에서 한국적인 디자인, 한국적인 아이덴티티가 가장 돋보이는 작품이라는 평을 받으며 당선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후 실시설계를 거쳐 1997년 준공되었다.
- 1993.02㈜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등록
- 1993.05사보 ‘대청마루’ 발간
1993.05
사보 ‘대청마루’ 발간
국내 설계사무소 최초로 사보 《대청마루》를 발간하여 사내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도모했다.
- 1994.01엔지니어링 활동 주체 신고
- 1994.02소방설비설계업 및 감리업 등록
- 1995.08정림건축 연건동 구사옥 해체 이벤트
1995.08
정림건축 연건동 구사옥 해체 이벤트
창립 30주년을 맞아 신사옥을 신축하면서 구사옥의 해체를 ‘건축과 미술의 만남’이라는 예술작업으로 승화시켜, 해체 건물을 오브제로 활용한 국내 첫 설치미술 퍼포먼스로 ‘이승택, 강은엽, 이상현의 해체 삼중주’라는 행사로, 문화계에 신선하고 즐거운 충격을 던져주었다.
- 1995.10국립중앙박물관 당선
1995.10
국립중앙박물관 당선
기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사용하던 구 총독부 청사의 철거와 함께 실시된 국립중앙박물관 국제현상 공모전에서 300여 곳이 넘는 국내외 건축회사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정림건축의 안은 “복잡한 기능을 명쾌한 동선으로 잘 정리해 풀어내고 국가의 중요 공공건물로서의 이미지를 잘 표현했다.”는 평을 받았다. 또한 국립중앙박물관은 대한민국 대표 박물관의 위상을 보여준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 1996.08정림건축 연건동 신사옥 착공
1996.08
정림건축 연건동 신사옥 착공
창립 30년을 앞둔 정림건축은 장기발전계획 수립과 제2의 도약을 다짐하고 새로운 CI 제작에 착수했으며, 신사옥 건립을 결정, 착공하였다. 그러나 의욕적으로 추진하던 일련의 사업들이 IMF 외환 위기로 중단되는 등, 정림건축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큰 시련도 겪게 된다.
- 1997연세대학교 세브란스 새병원
1997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새병원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새 병원은 천 개의 병상을 수용하는 대규모 건축물로 당시로는 전례가 없는 규모이다. 환자 중심적 치유환경을 제공하고 유연한 곡선의 파사드가 인상적이다. 변화하는 시대정신과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미국의 엘레베 베킷(Ellerbe Becket)과의 협업으로 이루어낸 의료설계의 모델로서 상징성을 보여 준다.
- 1998.08정림건축 연건동 신사옥 완공
1998.08
정림건축 연건동 신사옥 완공
문화의 거리를 밝히는 대학로의 등대처럼 정림건축이 한국 건축계와 문화계를 밝히는 빛과 좌표로 영속되기를 기원하며, IMF 외환 위기의 어려움에도 연건동 신사옥을 완공하여 입주했다
- 1999서울월드컵경기장 당선
1999
서울월드컵경기장 당선
서울월드컵경기장 현상공모에서 ‘작지만 풍요로운 소반’과 ‘희망을 띄우는 전통 연’이라는 설계개념으로 우수한 디자인과 경제적인 시공계획을 제안했다는 평을 받으며 당선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경기 관람에 한정하지 않는 공공적 성격을 구축하고 저층부에 복합상업시설을 배치, 전통과 현대를 이상적으로 접목했다.
- 1999.09뉴욕 지사 설립
2000 - 2010
오늘을 넘어서다- 2002.12정림건축 연감집 제작
2002.12
정림건축 연감집 제작
정림건축에서 1년 동안 진행한 작품을 모아 정림의 첫 번째 연감집 《Junglim Architecture Works 2002》를 발간했다. 연감집 발간은 디자인 문화를 선도하고, 정림건축의 젊은 인재들을 널리 알리겠다는 정림건축의 의지를 보여 준다. 이후 매년 그 해의 작업 과정과 성과를 정리하여 연감집을 발표해 정림건축의 새로운 비전과 다양한 작품세계를 대내외적으로 공개하고 있다.
- 2003.02정림건축 4대 경영원칙 발표
2003.02
정림건축 4대 경영원칙 발표
정도경영, 인재중시 경영, 디자인/품질우선 경영, 고객만족 경영, 4가지의 경영원칙을 수립했다. 이는 본부별 특성화, 전문화 등 새로운 시도로 이어졌으며, 탁월한 경쟁력으로 수많은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정도경영
윤리적인 정체성 정립을 의미한다. 투철한 장인정신으로 윤리적 기업정신을 만들며 평등한 기회 제공, 적절한 보상, 공정한 평가로서 윤리적 인사정책을 실천한다. 또한, 건축을 통한 진정한 사회봉사 실천으로 윤리적인 기업을 지향한다.
인재중시 경영
채용에서 보상까지의 인사정책을 총체적으로 재정립한다. 적절한 처우 개선, 공평하고 정당한 인사 정책으로 우수한 인재를 채용하고 육성하며 직원과 고객의 지속적인 의견수렴으로 꾸준히 성장해 간다.
디자인/품질우선 경영
선임PD제도, 사내공모제도를 통해 내적인 디자인 성장을 도모한다. 연감집 발간과 같은 대외 홍보를 통해 대외적 디자인 인지도를 상승시키는 것은 물론 QC부서의 강화, 지식경영, 디자인 기술과 기술 직능자들의 관계 개선으로 품질 향상을 지향한다.
고객만족 경영
새로운 고객층을 확대하고 기획본부의 수주 정보관리기능을 강화하여 고객의 니즈(Needs)를 찾으며 다양한 대외홍보 매체 개발과 고객 데이터베이스(Data Base)를 구축한다.
- 2005.03제1회 정림 학생건축상 개최
2005.03
제1회 정림 학생건축상 개최
‘세계화하는 한국성 건축을 위하여’라는 대주제로 2005년부터 정림 학생건축상이 시작되었다. 한국의 정체성을 탐구하고, 현대건축의 현재성을 담보하면서 한국성을 국제화하려는 취지에서 시작되었으며, 매년 실시하고 있다.
- 2007.06정림건축 창립 40주년
2007.06
정림건축 창립 40주년
정림건축은 창립 40주년을 맞이하여 설립자의 순수한 의지와 과감한 시도로 ‘설계집단의 소유와 경영의 분리’라는 업계의 전무후무한 사례를 만들어 건축계의 새로운 성공 모델이 되었다.
- 2007.09두바이 지사 설립
- 2008.05기술력 확보를 위한 미래디자인그룹 신설 (BIM, NUDL 등)
2008.05
기술력 확보를 위한 미래디자인그룹 신설
(BIM, NUDL 등)미래 건축설계 환경에 대비하고, 다양한 창작 욕구를 만족시키며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를 위해 새로운 디자인 패키지와 툴(BIM, NUDL 등)을 연구개발하고 교육, 활용하는 기술관련 조직을 통합해 미래디자인그룹을 신설했다.
- 2009.06중국 심양 현지법인 ‘정림건축설계유한공사’ 설립
-
2009.06
미션, 비전, 핵심가치(MISSION, VISION, CORE VALUE) 선포
2009.06
미션, 비전, 핵심가치
(MISSION, VISION, CORE VALUE) 선포창립 42년을 맞이한 정림건축은 ‘건강한 공간 환경을 만들어 더불어 사는 세상과 함께 한다’는 미션(Mission)과 ‘행복한 일터, 건강한 건축문화 집단, 닮고 싶은 회사’로서의 비전(Vision)을 마련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가치(Core Value)로 사람(Human), 신뢰(Trust), 함께(Teamwork), 탁월(Excellence), 리더십(Leadership), 열린 사고(Openness), 지속(Sustainability)을 선정하였다.
- 2009.09롯데 심양 프로젝트 설계 계약 체결
2009.09
롯데 심양 프로젝트 설계 계약 체결
정림건축이 마스터 아키텍트로서 전체 설계를 총괄하며 중국의 동북 설계원, 일본의 쇼 오쿠노 아키텍트, 미국의 RTKL 등 4개국이 참여하는 연면적 약 46만 평 규모의 대형 복합시설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이 프로젝트의 수주로 대규모 복합쇼핑몰과 명품형 주거단지의 해외진출을 알렸다.
-
2009.09
타임스퀘어(Times Square) 개점
2009.09
타임스퀘어(Times Square) 개점
도심재생 프로젝트의 롤 모델로 평가되는 영등포 타임스퀘어는 기존 공장 부지를 새로 개발하고자 하는 (구)경방의 의지가 반영된 백화점, 몰, 영화관, 호텔, 서점, 마트, 임대오피스 등으로 구성된 복합 엔터테인먼트 공간이다. 정림건축의 복합상업시설 프로젝트의 초석이라 할 수 있는 타임스퀘어는 ‘라이프스타일로서 쇼핑’이라는 ‘UELC(Urban Entertainment Lifestyle Center)’ 핵심 개념을 담아 일상화된 21세기 한국의 새로운 공공공간의 모델을 제안하였다.
- 2010.09정림건축 자재집 ‘Junglim Architectural Catalog’ 발간
2010
정림건축 자재집 ‘Junglim Architectural Catalog’ 발간
설계실무에 사용한 건축자재에 대해 축적된 자료를 분야별, 공종별로 정리하고, 각 공종에서 사용된 제품의 소개 및 특징, 적용 사례, 설계 팁 등을 상세한 시공 이미지와 함께 정리하여 출간하였다.
2011 - 현재
내일을 내다보다- 2011.04정림건축문화재단 설립
2011.04
정림건축문화재단 설립
정림건축문화재단은 한국 건축의 건강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설립되었다. 건축의 사회적 역할과 건축을 통한 공동체 활성화를 목적으로 건축뿐만 아니라 문화예술계와 활발한 교류에 힘쓰며, 한국 건축문화의 균형 잡힌 매개자가 되기 위해 미디어, 교육, 포럼, 전시, 공동체 연구, 출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 2011.07베트남 호치민 현지법인 설립
- 2012.02전문 설계업 1종 등록
- 2015.02정림건축 리더십 과정 시행
2015.02
정림건축 리더십 과정 시행
건강한 철학과 가치관을 바탕으로 업계의 선도기업으로 그 역할을 수행해 온 정림건축은 점차 다변화, 전문화되어 가는 사회구조 속에서 향후 100년을 향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어가기 위한 고민을 시작하였다. 구성원 개인이 스스로 건강한 철학을 지니고 서로의 다양성을 이끌어내며 팀워크를 함께 이루어 훗날 역량 있는 리더로 성장하기 위한 5가지 단계별 리더십 과정을 기획했다. 그 1단계인 ‘셀프 리더십(Self-Leadership)’을 가지고 전 직원을 대상으로 첫 출발을 내디뎠다.
- 2016.02정림건축 핵심가치(CORE VALUE) 개정
2016.02
정림건축 핵심가치(CORE VALUE) 개정
2009년 6월에 제정‧선포한 정림건축의 미션, 비전, 핵심가치(Mission, Vision, Core Value)를 현재 시점에서 재점검했다. 기존 7개의 핵심가치를 5개(사람, 신뢰, 함께, 탁월, 지속)로 축소하고 그 의미를 더욱 명확히 하였다.
- 2016.09스타필드 하남(Starfield Hanam) 개점
2016.09
스타필드 하남(Starfield Hanam) 개점
국내 신세계와 미국 쇼핑 전문회사 터브먼(Taubman)의 공동투자로 만들어진 스타필드 하남은 인접지역의 자연경관을 모티브로 한 대형 쇼핑몰이다. 단일건물 기준으로 최대 규모의 쇼핑몰로 주목을 받기도 한 스타필드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이 제안된 실내 도시공간이다. 미국의 쇼핑몰이 주는 여유로움과 동남아시아의 호텔에서 체험할 수 있는 이국적인 전망과 워터파크 등의 요소를 새로운 방식으로 조합해 체류형 복합쇼핑몰이라는 여가문화의 새로운 형식을 제안하였다.
- 2016.12JUNGLIM Way ver.1.0 선포
2016.12
JUNGLIM Way ver.1.0 선포
정림건축 100년을 향한 실천방안으로 “2017 JUNGLIM Way ver.1.0 - 우리는 이렇게 일합니다”를 선포하였다. 정림 웨이는 “서로가 서로에게, 내가 정림에게, 정림이 나에게, 정림이 사회에게”라는 4가지의 관점으로 사람, 신뢰, 함께, 탁월, 지속의 측면에서 정림 내 실천 가능한 요소를 담아내었다.
- 2016.12BIM 가이드북 온라인 배포
2016.12
BIM 가이드북 온라인 배포
정림건축과 오토데스크 사는 MOU를 통해 BIM 가이드북을 만들었다. 정림건축은 그 동안 쌓아온 BIM 실무 노하우를 제공하고, 오토데스크는 기술지원과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였다.
- 2017.06정림건축 창립 50주년
2017.06
정림건축 창립 50주년
정림건축은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여 ‘바르게 50년! 더불어 100년!‘이라는 슬로건을 만들고, 올바른 가치와 사명, 정의를 기반으로 과거에 안주하지 않고 100년 기업을 향해 계속 진화하고 있다.
- 2017.09UIA 2017세계건축대회 정림건축 ‘일상감각’ 전시
2017.09
UIA 2017세계건축대회 정림건축 ‘일상감각’ 전시
UIA 2017 서울세계건축대회에서 정림건축은 “일상감각”이라는 주제로 지난 50년간의 작업 중 대표작 50점을 선정해 전시하였다. 정림건축 내 임직원들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50개의 작품은 4개의 감각에 따라 구분했다. 창립 50주년을 맞는 해에 UIA 전시를 통해 대한민국 근대 건축사에 기여해온 공공적 가치를 조망하고자 하였다.
- 2019.06중구 세종대로 해남2빌딩으로 이전
2019.06
중구 세종대로 해남2빌딩으로 이전
정림건축은 지난 1967년 서울 을지로 작은 아틀리에에서 성장하여 종로구 연건동 시대를 지나 약 반세기만에 다시 4대문 중심으로 터전을 옮긴다. 무엇보다도 우리나라 문화와 행정의 중심으로 이전을 한다는 장소성이다. 시청 및 서울역이 인접해 있는 4대문의 중심으로 장소를 옮기면 교통망이 한결 좋아지고, 시행현장이 전국에 퍼져있는 만큼 접근성 면에서 임직원들에게 상당한 편리성을 제공할 것으로 본다. 무엇보다도 이번 본사 이전은 정림건축이 추구하는 '인간 중심', '건강한 조직 구현', '인재육성'이라는 가치실현과 부합, 직원들의 자긍심 고취는 물론 더욱 더 업무효율화를 유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2022.05김정철서체 개발, 무료 배포
- 2023.01CM 법인 분할 '정림씨엠건축사사무소' 설립